M&A 인사이트
- 회사 매각 시, 기존 직원들이 해고된다?
모멘스투자자문
Copyright ⓒ모멘스투자자문㈜. All rights reserved
“형섭: M&A라는 건 말이야, 사고 파는 게 아니야. M&A는 죽이고 살리는 거야.
법인이 뭐야, 법으로 만든 인격이지? M&A는 둘을 하나로 합치거나 없애거나 하는 거지?
인격을 없앴어. 그럼 이거 살인 아냐?
진수: 에이 그게 무슨 살인이에요.
형섭: 야, 회사 팔리면 어떻게 돼? 그 회사 직원들은 다 잘리겠지. 잘리면?
월급 못 받지. 그럼 그 가족들은? 굶겠지. 그러다 사람 죽고 그러는 거라고.
'해고는 살인이다.'”
JTBC 협상의 기술 1화 中
협상의 기술에서 잘 나가는 팀의 직원인 형섭이 새로 들어온 계약직 인턴, 진수에게 M&A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려주는 대사입니다.
위 대사처럼 많은 사람들은 M&A가 성사될 경우 매각기업에 소속되어 있는 직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오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회사가 팔리면 직원들이 해고된다.’ 라는 우려가 크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M&A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 중 하나는 ‘해고’에 대한 우려입니다. M&A가 진행되면 기업이 새롭게 정비되는 과정에서 인력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무조건적인 구조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인수 기업이 기존 직원들을 유지하며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핵심 인력 없이 회사 운영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직원들의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따라서 M&A 과정에서 직원들이 대량 해고된다는 생각은 지나친 오해입니다. 실제로 인수 기업은 기존 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기업의 운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M&A는 단순한 회사 매각이 아니라, 기업이 더 큰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투자자 혹은 인수자로부터 자금을 확보하고 경영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중소기업이 기술력은 뛰어나지만 자금 조달과 마케팅 역량이 부족한 경우, 더 큰 기업과의 M&A를 통해 시장에서의 자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직원들은 더욱 체계적인 교육과 시스템을 경험할 기회를 얻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더 좋은 복지와 안정적인 고용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M&A를 부정적으로만 바라보기보다는, 기업과 직원 모두가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출발점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M&A는 법률, 세무, 재무, 인사 등 다양한 요소가 얽혀 있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특히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고, 인수 기업과의 협상 과정에서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내려면 전문적인 자문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협상의 기술 속 산인기업과 같이 M&A팀을 별도로 구성하기에는 많은 리소스가 들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M&A 전문가 모멘스는 중소기업이 M&A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M&A팀이 되어 맞춤형 전략을 제공합니다. 단순히 회사를 매각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직원들의 고용 안정성을 고려한 최적의 거래 구조를 설계합니다.
M&A는 기업과 직원 모두에게 위기가 아닌 새로운 기회의 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성장 전략으로서 가능성을 고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M&A가 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올바른 접근과 전문적인 컨설팅이 필수적입니다.
모멘스를 통해 M&A 전문 자문을 받고 새로운 기회의 문을 만나보세요.
회사 매각 시 기존 직원들이 해고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회사 매각 시 기존 직원들이 해고된다?
M&A 전문가는 사이코패스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M&A 전문가는 사이코패스다?
M&A 전문가는 영업부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3M&A 전문가는 영업부다?
M&A 계약서에 원하는 조건들을 다 넣을 수 있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4M&A 계약서에 원하는 조건들을 다 넣을 수 있다?
기업가치는 무조건 고정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5기업가치는 무조건 고정이다?
M&A는 총칼 없는 전쟁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6M&A는 총칼 없는 전쟁이다?
M&A 전문가는 부동산 중개인 같은 역할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7M&A 전문가는 부동산 중개인 같은 역할이다?
M&A 자문사는 잠재 인수자만 찾아준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8M&A 자문사는 잠재 인수자만 찾아준다?
실사 과정에서 매각가액이 변할 수 있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9실사 과정에서 매각가액이 변할 수 있다?
매각하면 기업의 이미지가 나빠진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0매각하면 기업의 이미지가 나빠진다?
M&A로 빠르게 신사업에 진출할 수 있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1M&A로 빠르게 신사업에 진출할 수 있다?
M&A를 통해 피보팅을 할 수 있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2M&A를 통해 피보팅을 할 수 있다?
바인딩 MOU를 체결하면 무조건 성사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3바인딩 MOU를 체결하면 무조건 성사된다?
의사결정권자를 만나면 협상이 빠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4의사결정권자를 만나면 협상이 빠르다?
M&A 중 제안 금액이 가장 높은 곳이 좋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5M&A 중 제안 금액이 가장 높은 곳이 좋다?
기업가치는 성장할 때가 가장 높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6기업가치는 성장할 때가 가장 높다?
레드오션 시장일 경우, 더 이상 성장은 어렵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7레드오션 시장일 경우, 더 이상 성장은 어렵다?
M&A 협상에서 데드라인을 밝히면 불리하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8M&A 협상에서 데드라인을 밝히면 불리하다?
실사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9실사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이다?
재무제표가 기업의 건강검진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0재무제표가 기업의 건강검진표다?
한번 딜이 부러지면 다시 협상할 수 없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1한번 딜이 부러지면 다시 협상할 수 없다?
적자기업, 마이너스 회사는 매각이 어렵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2적자기업, 마이너스 회사는 매각이 어렵다?
기업 매각 후 다시 동종업계 창업이 가능하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3기업 매각 후 다시 동종업계 창업이 가능하다?
M&A 시, 초기에 이름을 밝히지 않아도 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4M&A 시, 초기에 이름을 밝히지 않아도 된다?
회사 인수 시, 직원 승계 후 나중에 자르면 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5회사 인수 시, 직원 승계 후 나중에 자르면 된다?
실사 시, 제공된 자료만 믿으면 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6실사 시, 제공된 자료만 믿으면 된다?
실사 시, 오류를 발견하면 협상에서 불리하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7실사 시, 오류를 발견하면 협상에서 불리하다?
재무제표만 좋으면 무조건 기업이 매각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8재무제표만 좋으면 무조건 기업이 매각된다?
기업 매각 후 동종업계 진출 시, 우회 경영이 가능하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9기업 매각 후 동종업계 진출 시, 우회 경영이 가능하다?
M&A 진실과 오해를 마치며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30M&A 진실과 오해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