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인사이트
- M&A는 자문사는 부동산 중개인 같은 역할이다?
모멘스투자자문
Copyright ⓒ모멘스투자자문㈜. All rights reserved
“상배: 주관사로 참여하게 된 유민IB의 강상배입니다.
진수: 아, 네, 주관사
상배: 저희는 M&A에서 인수 회사와 인수 대.. 아니다
그냥 저기 뭐 이사하실 때 부동산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JTBC 협상의 기술 2화 中
M&A 주관사는 종종 부동산 중개업자에 비유됩니다. 매각을 하고 싶어하는 기업과 인수를 하고 싶어하는 기업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점에서 비슷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는 M&A 주관사의 역할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입니다. 부동산 중개업자는 매도자와 매수자를 연결하고 계약 체결을 돕는 역할이지만, M&A 주관사는 단순한 중개를 넘어 기업 가치 평가, 협상 전략 수립, 거래 구조 설계, 법률 및 재무 리스크 분석까지 수행하는 종합 컨설턴트입니다.
드라마 ‘협상의 기술’에서도 "그냥 부동산 같은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라는 대사가 나오지만, 실제로 M&A 주관사의 역할은 훨씬 복잡하고 전략적입니다. 기업 매각과 인수는 단순한 부동산 거래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변수와 복잡한 절차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중개업자는 매도자와 매수자를 연결하고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이 핵심 역할입니다. 그러나 M&A 주관사는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최적의 조건에서 거래가 성사되도록 전략을 세우는 것이 본질적인 역할입니다.
M&A에서 매각자는 자사의 가치를 최대한 높여 매각하려 하고, 인수자는 리스크를 줄이고 합리적인 가격에 인수하려 합니다. 이 과정에서 거래가 성사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업의 재무 구조, 시장 경쟁력, 성장 가능성, 법적 리스크 등 수많은 요소들이 거래 성패를 결정짓습니다.
따라서 M&A 주관사는 단순히 ‘이 기업이 잠재 인수자입니다.’ 혹은 ‘이 기업이 매력적인 매각 기업입니다.’ 라고만 중개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 대상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협상 전략을 수립하며, 법률적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고, 세금 문제까지 고려하는 종합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M&A는 단순한 가격 협상이 아니라 기업의 미래를 결정하는 협상입니다. 매각자가 기업을 팔기 위해 제시하는 조건과, 인수자가 이를 받아들이는 조건이 일치해야만 거래가 성사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양측의 이해관계는 쉽게 조율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매각자는 ‘우리 회사는 500억 원의 가치가 있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인수자는 ‘300억 원 이상은 어렵다’는 입장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매각자가 직원 승계를 원할 수도 있지만, 인수자는 구조조정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매각자와 인수자의 입장이 엇갈릴 때, 조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M&A 주관사 혹은 자문사입니다.
M&A 주관사는 기업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협상 전략을 수립하여 매각자가 더 유리한 조건에서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양측이 감정적으로 충돌하지 않도록 중립적인 입장에서 협상을 조율하며, 거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합니다.
대기업의 M&A는 대형 투자은행(IB)이나 회계법인이 주관하지만, 중소기업 M&A는 더욱 세밀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중소기업 시장에서는 인수자가 우위에 있는 경우가 많아, 매각자가 원하는 조건을 관철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특히 중소기업 M&A에서는 기업의 브랜드 가치나 시장 점유율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인 재무 상태와 성장 가능성 또한 더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따라서 매각자가 단순히 ‘이 기업이 좋은 기업이니 비싸게 사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객관적인 데이터와 설득력 있는 협상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M&A 전문 자문사인 모멘스는 이러한 복잡한 협상 과정을 철저히 분석하고, 매각자와 인수자가 모두 동의할 수 있는 협상 조건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인수자와 매각자가 직접 협상하면 감정적인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지만, 모멘스가 중간에서 조율하면 보다 합리적인 조건에서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습니다.
M&A는 기업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부동산 거래처럼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만큼, M&A 전문가와 함께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모멘스와 함께 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성공적인 M&A 과정을 시작해보세요.
회사 매각 시 기존 직원들이 해고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회사 매각 시 기존 직원들이 해고된다?
M&A 전문가는 사이코패스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M&A 전문가는 사이코패스다?
M&A 전문가는 영업부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3M&A 전문가는 영업부다?
M&A 계약서에 원하는 조건들을 다 넣을 수 있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4M&A 계약서에 원하는 조건들을 다 넣을 수 있다?
기업가치는 무조건 고정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5기업가치는 무조건 고정이다?
M&A는 총칼 없는 전쟁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6M&A는 총칼 없는 전쟁이다?
M&A 전문가는 부동산 중개인 같은 역할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7M&A 전문가는 부동산 중개인 같은 역할이다?
M&A 자문사는 잠재 인수자만 찾아준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8M&A 자문사는 잠재 인수자만 찾아준다?
실사 과정에서 매각가액이 변할 수 있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9실사 과정에서 매각가액이 변할 수 있다?
매각하면 기업의 이미지가 나빠진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0매각하면 기업의 이미지가 나빠진다?
M&A로 빠르게 신사업에 진출할 수 있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1M&A로 빠르게 신사업에 진출할 수 있다?
M&A를 통해 피보팅을 할 수 있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2M&A를 통해 피보팅을 할 수 있다?
바인딩 MOU를 체결하면 무조건 성사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3바인딩 MOU를 체결하면 무조건 성사된다?
의사결정권자를 만나면 협상이 빠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4의사결정권자를 만나면 협상이 빠르다?
M&A 중 제안 금액이 가장 높은 곳이 좋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5M&A 중 제안 금액이 가장 높은 곳이 좋다?
기업가치는 성장할 때가 가장 높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6기업가치는 성장할 때가 가장 높다?
레드오션 시장일 경우, 더 이상 성장은 어렵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7레드오션 시장일 경우, 더 이상 성장은 어렵다?
M&A 협상에서 데드라인을 밝히면 불리하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8M&A 협상에서 데드라인을 밝히면 불리하다?
실사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이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19실사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이다?
재무제표가 기업의 건강검진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0재무제표가 기업의 건강검진표다?
한번 딜이 부러지면 다시 협상할 수 없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1한번 딜이 부러지면 다시 협상할 수 없다?
적자기업, 마이너스 회사는 매각이 어렵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2적자기업, 마이너스 회사는 매각이 어렵다?
기업 매각 후 다시 동종업계 창업이 가능하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3기업 매각 후 다시 동종업계 창업이 가능하다?
M&A 시, 초기에 이름을 밝히지 않아도 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4M&A 시, 초기에 이름을 밝히지 않아도 된다?
회사 인수 시, 직원 승계 후 나중에 자르면 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5회사 인수 시, 직원 승계 후 나중에 자르면 된다?
실사 시, 제공된 자료만 믿으면 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6실사 시, 제공된 자료만 믿으면 된다?
실사 시, 오류를 발견하면 협상에서 불리하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7실사 시, 오류를 발견하면 협상에서 불리하다?
재무제표만 좋으면 무조건 기업이 매각된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8재무제표만 좋으면 무조건 기업이 매각된다?
기업 매각 후 동종업계 진출 시, 우회 경영이 가능하다?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29기업 매각 후 동종업계 진출 시, 우회 경영이 가능하다?
M&A 진실과 오해를 마치며
협상의 기술, M&A 진실과 오해 #30M&A 진실과 오해를 마치며